R&D를 통한 미래 역량 확보
동우화인켐의 연구기술부문은 끊임없는 R&D를 통해 지속 성장의 원동력으로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등에 직면해 신성장동력 마련이 시급히 요청됨에 따라 선도기술 확보가 더욱 중요해졌다. 이전까지 사업본부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춘 연구개발에 주력해 왔다면, 이제는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신수종 아이템 개발과 원천기술 확보에 힘을 기울여야 하는 상황이 도래했다.
동우화인켐은 2017년 조직개편을 통해 각각의 사업본부 내에 광학소재개발그룹과 ADS개발그룹을 신설한데 이어 2018년에는 케미칼사업본부 내에 케미칼개발그룹을 신설해 단기과제 개발 기능을 모두 사업본부로 이관 완료했다. 이에 따라 연구·기술본부는 연구 본연의 목적에 더욱 집중하면서 중장기 성장동력 마련을 위한 연구개발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연구·기술본부는 2018년 조직개편을 통해 기존 전자재료연구소-신소재연구소-생산기술그룹 체계에서 기반기술연구소-인프라센터 등 2그룹 8팀으로 개편됐다.
기반기술연구소에는 디스플레이요소팀, 반도체요소팀, 센서요소팀, 융합연구팀을 편제해 미래 기술 연구소에 집중하도록 했다. 인프라센터에는 공정개발팀, 엔지니어링팀, IP전략실, 분석기술팀이 조직됐다. 이와 함께 연구관리파트를 신설해 본부 직속에 뒀다.
2019년에는 부사장 직속으로 생산기술실을 신설했다. 인프라센터 산하의 엔지니어링팀을 생산기술실 산하로 이동해 전사 조직으로 편제했다.
이에 앞서 2018년 2월 SEMH 중국 현지 Lab을 개소했다. 한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이 LCD사업을 축소하는데 비해 중국 시장의 성장은 해마다 가파르게 성장함에 따라 영업, 기술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중국 디스플레이기업들의 기술력은 한국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발전했다. 이에 따라 중국 현지 연구소에서 고객의 개발 스케줄에 따라 제품 설계, 제작, 평가 결과의 해석을 수행해 고객 만족도를 높여 나갔다. 보다 신속한 상품화 대응력을 구축해 중국 시장점유율 확대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동우화인켐은 2020년 4월 칼라연구소를 신설했다.
글로벌 넘버원 제품 중 하나인 컬러레지스트를 기반으로 향후 Q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반도체 그리고 색재 관련 신규 비즈니스를 창출하겠다는 복안이었다.
기존에는 기반기술연구소의 디스플레이요소팀에서 QD 관련 연구를, 케미칼개발그룹의 표시재료상품팀에 서는 RGB 관련 연구를, 반도체소재상품팀에서는 CIS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칼라연구소는 이처럼 분산돼 있던 색재 관련 R&D 기능을 통합해 디스플레이색재1팀, 디스플레이색재2팀, 반도체색재팀을 구성했다. 디스플레이색재1팀은 차세대 QD, 디스플레이색재2팀은 컬러 레지스트, 반도체색재팀은 CIS 관련 연구를 담당했다.
이를 통해 중복 개발 최소화는 물론 과제의 집중화를 통한 시너지 창출을 도모했다. 염료합성, CIS 등 스미토모화학과의 교류가 필요한 분야에서도 칼라연구소로 창구를 일원화해 연구개발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었다. 또한 색재뿐만 아니라 LCD, OLED, WOLED, 플렉서블, QD디스플레이, 반도체 적층 등 고객의 다양한 구조에 적합한 주변 재료 개발을 함께 진행했다.
한편 연구·기술본부는 2020년 4월 칼라연구소 신설과 함께 본부 조직을 기반기술연구소, 기술지원센터로 개편했다. 인프라센터를 기술지원센터로 개편하면서 공정개발팀은 기반기술연구소로 이관했다.
R&D를 통한 미래 역량 확보
5G용 투명안테나 ADO 개발 제품
5G용 투명안테나 ADO 개발 제품
QD-글라스용 QD-레진이 적용된 QD-디스플레이
반도체부문 연구개발 모습
반도체부문 연구개발 모습
와이어리스 헬스케어센서 개발
반도체부문
디스플레이부문(QD, QNED)
2차전지용 소재
헬스케어 센서
5G 안테나